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

철골 구조 철골 구조는 각종 형강과 강판을 볼트, 리벳, 고력 볼트 등의 결합재를 이용하거나 용접으로 조립함으로써 건물의 뼈대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강구조라고도 한다. 철골구조에서는 주요 구조부인 기둥, 보, 바닥, 지붕, 계단 등을 모두 철재로 구축한 것으로 철재를 콘크리트로 피복하여 구조재로 사용하는 구조를 철골 철근 콘크리트(SRC) 구조라 하며, 철재보와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로 구성한 것을 합성 구조라 하고, 철재를 이용하나 철재의 무게가 4mm 이하의 것을 경량 철골 구조와 강관을 이용한 강관 구조가 있다. 1. 철골의 등장 건물에 주철제의 보가 사용된 것은 18 세기말부터였다. 1801년에 제임스 와트가 란캇 샤먼 공장에 4.2m의 경간에 주철보를 사용하였고, 대영 박물관의 건축에 약 12.5m의 주철보가.. 2023. 7. 24.
건축물의 하중과 응력 1. 건축물은 어떻게 서 있는가? 우리가 살고 있는 건축물은 자연에서부터 오는 여러 가지 물이 현상에 의한 힘을 받고 있으며, 그 힘을 잘 지지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뼈대인 구조체가 형성되어야 한다. 여러 가지 물리현상이 자연 현상에 의해 건축물에 작용하는 힘을 하중 또는 외력이라고 한다. 이러한 하중이 작용할 때 건축물이 무너지지 않도록 구조체가 저항을 하는데, 이때에는 물리학의 원리에 따라 구조체를 형성하는 부재에 하중에 대응하는 힘이 생긴다. 이 힘을 부재력 또는 응력이라고 한다. 이 부재력은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의 강도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되며, 철근 콘크리트 건물에서는 결국 철근과 콘크리트의 강도에 따라 외부의 하중에 저항하는 부재력이 생기고 건축물을 지지하게 되나. 이렇게 해서 건축물을 튼튼.. 2023. 7. 7.
철근 콘크리트 구조(원리, 장단점, 종류)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철근과 콘크리트를 일체로 하여 만들어지는 구조로서, 이 두 재료의 단점이 상호 보완되어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그 역사에 비해 빠르게 발달하여,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건축구조로 자리 잡고 있다. 콘크리트는 압축에는 강하지만 인장력에 매우 약하므로, 인장력을 받는 부분을 철근으로 보강하면 구조물로써의 기능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원리 철근콘크리트의 부재는 중립축을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에서 압축력과 인장력을 작용하는 응력도 분포로 콘크리트가 인장력에 취약한 점을 고려하여 콘크리트 단면상에서 인장 응력이 분포되는 곳에 철근을 배근하여 인장력을 부담하게 함으로써, 구조물로써의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 철근콘크리트 .. 2023. 5. 25.
건축구조(블록 구조) 콘크리트 블록을 모르타르로 접착하여 쌓아 올려 벽체를 형성한 구조로, 필요에 따라 철근을 가로나, 세로로 넣거나 철망을 넣어 보강할 수 있다. 1. 블록 구조의 특징 보강 철근을 사용하면 수직 하중과 수평 하중을 잘 견뎌 내구성이 크다. 화재에 대해 내력이 크고, 자체 연소성이 없어 내화성이 크다. 블록 구조는 지진 등과 같은 수평력에 약하지만, 보강 철근을 사용하면 수평력에 견딜 수 있는 힘이 증가한다. 속이 비어 있는 블록을 쓰기 때문에 단열, 차음 등의 효과가 나무 구조나 콘크리트 구조보다 훨씬 크다.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공사비가 저렴하고, 속이 비어 있어 무게가 가벼워 시공이 용이하다. 2. 블록의 종류 형식에 의한 분류 BI형, BM형, BS형이 있고 미국에서 발견된 BI형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 2023. 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