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축구조(블록 구조)

by cheul's 2023. 5. 18.

콘크리트 블록을 모르타르로 접착하여 쌓아 올려 벽체를 형성한 구조로, 필요에 따라 철근을 가로나, 세로로 넣거나 철망을 넣어 보강할 수 있다.

1. 블록 구조의 특징

보강 철근을 사용하면 수직 하중과 수평 하중을 잘 견뎌 내구성이 크다.

화재에 대해 내력이 크고, 자체 연소성이 없어 내화성이 크다.

블록 구조는 지진 등과 같은 수평력에 약하지만, 보강 철근을 사용하면 수평력에 견딜 수 있는 힘이 증가한다.

속이 비어 있는 블록을 쓰기 때문에 단열, 차음 등의 효과가 나무 구조나 콘크리트 구조보다 훨씬 크다.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공사비가 저렴하고, 속이 비어 있어 무게가 가벼워 시공이 용이하다.

2. 블록의 종류

형식에 의한 분류

BI형, BM형, BS형이 있고 미국에서 발견된 BI형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현재에는 표준형으로 통일되었고 크기는 길이 390, 높이 190, 너비 190, 150, 100mm가 있다.

비중에 의한 분류

기건 상태에서 비중 1.8 이상은 중량 블록, 비중 1.8 미만은 경량 블록이라 한다.

 모양에 의한 분류

기본형 블록과 특수형 블록으로 나뉜다.

3. 블록 구조의 종류

조적식 블록조는 블록의 자체를 막힌 줄눈으로 쌓는 방법이고, 내력벽에 많이 사용하며, 소규모 건물에 적당하다. 보강 블록조는 블록의 빈 공간에 철근과 모르타르를 채워 넣어 보강하는 방식으로 가장 튼튼한 구종이며, 블록조 지어지는 비교적 규모가 큰 건물에 이용한다. 장막벽 블록조는 뼈대를 철근 콘크리트 구조나 철골 구조로 하고 칸막이이벽으로서 블록을 쌓는 방식이다.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받지 않는 비내력벽을 말한다. 거푸집 블록조는 살 뚜께가 얇고 속이 비어 있는 ㄱ자형, ㄷ자형, T자형, ㅁ자형의 블록에 철근을 배근하여 콘크리트를 채워 벽체를 만드는 방식이다.

4. 블록 쌓기

모르타르는 시멘트와 모래의 배합비는 1:3 정도가 적당하고 배합비가 1:5를 넘지 않도록 한다. 기초, 바닥, 벽 등의 블록 쌓기를 할 때에는 깨끗하게 청소를 하고 블록 평면 나누기를 정확히 한다. 규준틀을 튼튼하게 설치한 후에 블록을 쌓는다. 모서리 및 교체부는 블록 벽체가 L자형이나 T자형으로 만나는 모서리와 교체부는 마구리 블록을 사용하여 쌓는다. 창호주위는 블록벽과 창문틀의 접착은 큰 못, 꺽쇠 등을 줄눈 위치에 막아 고정시키고, 사춤 모르타르를 충분히 채워 넣는다.

5. 각 부 구조

내력벽은 벽, 지붕, 바닥 등의 수직 하중과 풍력, 지진 등의 수평 하중을 받는 중요 벽체를 내력벽이라 한다. 보강 블록조의 같은 방향의 내력벽 길이는 그 층의 바닥 면적 1제곱미터당 0.15m 이상이 되어야 하고 내력벽으로 둘러쌓인 부분의 바닥 면적은 80제곱미터를 넘지 않도록 한다. 내력벽의 두께는 15cm 이상이거나, 벽의 주요한 지점 간 길이의 1/50 이상으로 한다. 부축벽의 길이는 층높이의 1/3 정도로 하고, 부축벽은 대칭으로 만든다. 칸막이벽은 내력벽으로 하면 벽의 두께가 커지고 평면 모양을 변경할 때 불편하므로 100mm 블록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 벽의 보강 철근 배근 방법은 같은 무게의 철근이면 굵은 것을 조금 넣는 것보다 가는 것을 많이 넣는 것이 좋다. 철근의 정착이음은 기초보나 테두리보에 만든다. 철근이 배근된 곳은 피복이 충분히 될 수 있도록 모르타르를 채운다. 세로근은 기초에서 보까지 한나의 철근으로 하는 것이 좋다. 보강근의 이음 길이는 지름의 25배 이상으로 한다.

창문 인방과 테두리 보는 창문 위에 보가 없을 때에는 창문 위에 인방을 만들고, 인방은 인방위의 하중과 자중에 대해 안전해야 한다. 각 층의 내력벽 위에 철근 콘크리트의 테두리보를 만들어 벽을 일체화시키고, 하중을 균등히 분포시켜 벽의 수직 균열을 방지한다.

바닥과 지붕의 경우 마루나 지붕틀을 나무로 만들 때는 목구조의 바닥과 지붕틀은 블록벽 위에 직접 올려놓지 말고, 철근콘크리트로 만든 테두리보나 기둥 위에 볼트 등으로 연결해서 정차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