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구조는 건물의 주요 구조부가 목재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기둥, 보, 지붕, 벽체, 마루 등의 뼈대를 나무로 짜서 가구식으로 만든 것이다. 목구조는 인류가 지상에 건축물을 만든 이래 가장 오랫동안 사용해 온 구조이다.
목구조의 장단점
1. 장점
비중에 비해 강도가 크고, 열전도율이 적으며 건물의 무게가 가볍고 가공이 비교적 용이하다. 나무의 종류가 다양하고, 나무의 고유의 색깔과 무늬가 있어 아름답다.
2. 단점
불에 잘 타서 내화성이 부족하고 함수율에 따른 변형이 크며, 부패하기 쉽고 충해가 생기기 쉽다. 고충 건물이나 장 스팬 건축이 어렵지만 집성재를 이용하면 대형 건물도 가능하다.
목재의 사용부위
1. 구조재
알맞게 건조된 것으로, 용이 등의 흠이 심하지 않은 것을 사용해야 한다. 응력을 받는 인장재와 접합부는 용이가 적은 것을 써서, 강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구조재로는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 전나무 등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미송이나 외국산 소나무도 많이 사용한다.
2. 수장재
지창재라고 하며, 옹이가 없는 곧은결 목재가 가장 많고 나무의 건조가 중요한데, 활엽수는 인공 건조 처리를 해서 기건 상태에서 함수율 15%까지 건조해 사용한다. 침엽수인 적송, 홍송, 낙엽송 등과 활엽수인 느티나무, 단풍나무, 박달나무 등이 많이 쓰이고 나왕도 쓰인다.
3. 창호재와 가구재
수장재보다 곧은 결의 기건재를 사용해야 한다. 창호재로는 삼목, 전나무, 느티나무, 졸참나무 등이 쓰이고 가구재로는 모든 침엽수와 활엽수 그리고 나왕, 티크 등이 쓰인다.
목재의 종류와 특징
1. 침엽수
침엽수는 주요 건축 구조재로 사용되고, 온대 지방과 한대 지방에서 주로 생산되며, 같은 수종이라도 한대 지방보다 온대 지방에서 자란 것이 약하다.
가. 전나무 비중은 약 0.37로 가볍고, 면이 거칠어 창호재, 수장재, 나무 상자 등으로 이용된다.
나. 노송나무 비중은 약 0.46 정도이고 향기가 좋으며 광택이 난다. 고급건축재로 가구, 창호, 내장재 등으로 사용한다.
다. 소나무 비중은 약 0.53 정도로 송진이 나오며, 내수성과 탄력성이 있다. 건축재나 말뚝으로 사용된다.
라. 낙엽송 비중은 약 0.61 정도이고 경질이며 내구성이 있다. 곧은 재료를 얻기 쉬우나 쪼개지기 쉽다. 구조재, 말뚝재, 등으로 사용된다.
2. 활엽수
활엽수는 온대와 열대에서 성장하며, 일반적으로 침엽수보다는 단단하고 비중이 커서 가공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큰 강도와 마멸에 견뎌야 하는 부위와 내식성이 필요한 부분에 사용되나.
가. 오동나무 비중은 약 0.31 정도이고 연질이며 무늬가 미려하고 방습성이 좋아 가구, 장식, 악기재 등으로 사용된다.
나. 밤나무 비중은 약 0.50 정도이고 견실하며 탄력성이 있고 내수성이 커서 가구재, 수장재 등으로 사용된다.
다. 느티나무 비중은 약 0.68 정도이고 광택이 있으며 미려하고 내수, 내습성이 커서 건축재, 가주재, 창호재, 수장재, 선박재, 조각재 등으로 사용된다.
라. 벚나무 비중은 약 0.70 정도이고 치밀하며 무겁고 단단하고 완성면이 아름다워서 가구재, 치장대 등으로 사용된다.
마. 단풍나무 비중은 약 0.72 정도이고 치밀하며 나뭇결이 아름다워서 가구재, 치장재, 창호재 등으로 사용된다.
바. 떡갈나무 비중은 약 0.82 정도이고 나뭇결이 거칠고 무거우며 가공이 어려워 건축재, 가구재 등으로 사용된다.